M_ttl_0

우리는 인천의 세 공간을 걷는다. 그리고 각 공간마다 마주한 것들을 수집한다. 그렇게 모인 흔적들에서 채취한 미생물을 배양한다. 자라난 미생물 중 곰팡이를 중심으로 세 공간에 대응하는 세 개의 배양접시 위에 그 포자를 옮겨, 살아있는 기억들로 각 공간을 재구성한다.
포자가 표면과 접촉해 생기는 이 기억들이 전제하는 접촉의 감각을, 시각 자료 뿐 아니라 또 다른 감각적 가능성으로 전환한다. 살아있는 기억에 대한 다양한 감각적 기록이, 관람자의 기억에서도 다채로운 형태와 기억으로 살아있기를 바랐다.

We walk through three spaces in Incheon and collect the things we encounter in each space. The microorganisms collected from the traces are cultured. The spores of the grown microorganisms, mainly fungi, are transferred onto three petri dishes corresponding to the three spaces, reconstructing each space with living memories.
The sense of touch that these memories presuppose, as the spor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is transformed into another sensory possibility, not just a visual one. I wish the various sensory records of living memory to live on in the viewer’s memory in various forms.

우리는 인천의 도심 공원, 거주자와 드나드는 인구가 많은 주거지, 그리고 바다와 인접한 공장단지 부근, 이렇게 세 공간을 걷고 마주하는 것들을 수집했다. 이 세 공간을 각각 대문자 알파벳 기호 A, B, C로 지칭한다.

We walked through three spaces in Incheon: a city park, a residential neighborhood with a high number of residents coming and going, and a factory complex near the sea. These three spaces are referred to as capitalized alphabetical symbols A, B, and C.

각 공간에서 수집한 흔적들에서 미생물을 채취해 총 9개의 배지에 접종했다. 이들을 소문자 알파벳으로 지칭한다. (a~i) 9개의 배지마다 각각 대표 곰팡이를 선택했다.

Microorganisms were collected from the traces in each space and inoculated into nine different badges. These are referred to with a lowercase alphabet. (a to i) Representative fungi were chosen for each of the nine badges.

2page_box2
close
2page_box2
2page_box2
close
2page_box2

실제 공간 위 흔적들이 위치관계를 기반으로 배양접시 위에 공간을 재구성하고자 했다.

We wanted to reconstruct the space on the petri dish based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s of the traces in the real world.

실제 공간들의 지도와 우리가 실제 걸었던 길을 바탕으로, 각 흔적들을 수집한 위치와 순서를 기록한다.

Based on a map of the physical space and the actual path we walked, we recorded the location and order in which we collected each trace.

이 위치들을 배양접시에 옮길 수 있도록 시각화한 뒤, 위에서 배양한 곰팡이의 포자를 각 위치에 잘라 옮겼다.

After visualizing these locations in petri dishes, we cut spores of the fungi cultured above and placed them at each location.

이렇게 재구성된 각 공간의 성장과정을 기록해 소리를 생성했다.

The sound was generated by recording the growth of each reconstructed space.

곰팡이가 번식하고 퍼져나가는 면적과 균사의 특징을 통해 주파수와 연결하여 소리를 생성한다. 하나의 배양접시 안에서 관찰되는 세 곰팡이의 성장이 각각의 소리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으로서 재구성된 배양접시를 온전히 감각할 수 있도록 했다.

The area where the fungi grow and sprea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phae are linked to frequencies to generate sound. By allowing the growth of the three fungi observed within a single petri dish to be reflected in their respective sounds, we are able to fully perceive the petri dish reconstructed as a space.

이렇게 배양된 공간의 흔적들을 배양접시라는 또다른 공간 위에서 선명한 현재를 보여준다.

The traces of space that we leave behind reveal a vivid present in another space, the petri dish.